끊임없이 검증하라

나에게 당연할지라도

JAVA 5

JAVA_4_중첩클래스(Nested)와 Static(+jvm, 스프링 부트)

* 이 포스트는 학습 과정에서 그 내용을 기록한 글이기에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글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트는 인프런 강의 중 토비 님의 '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를 수강하고 배운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하였습니다. 그렇기에 조금 더 내용을 깊게 알기 원하시면 직접 강의를 수강하시길 추천합니다. 또한 해당 내용은 토비 님의 유튜브 채널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2G41JMLh05U를 같이 보시면 좋습니다. ❗ 이번 포스팅은 지난 글인 https://fadet-coding.tistory.com/26 에서 이어집니다. ❗ 포스트를 보실때 미리 알면 도움이 될 지식 : 자바(J..

JAVA 2023.10.30

JAVA_3_Static(+메모리)

* 해당 포스트는 실습 과정 중 학습을 정리하는 글이기에 주관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걸러들으시거나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트는 Static Class, variable 위주의 JAVA의 메모리 할당에 대한 얘기를 풀어보고자한다.INDEX1 물리/논리 메모리의 간단한 구조2 기업들과 OOP3 static과 인스턴스 Elements의 차이 - 우리가 사용하는 Class는 (static) Class4 static과 OOP 스프링 공부를 하는데 누군가 Q&A에 static class에 대해 잘 모르는 뉘앙스의 질문글을 올렸고 거기에 답글을 달다가 '내가 알고 있는 메모리 관련 지식이 정확할까?'란 고민에 휩싸여 결국 다시 개념을 정리해보기로 했다. ..

JAVA 2022.04.14

JAVA_2_몬티홀 문제_2(코드로 접근)

* 해당 포스트는 실습 과정 중 학습을 정리하는 글이기에 주관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걸러들으시거나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제 이 문제를 코드를 이용해 풀이하는 방식으로 접근해보자. 일단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악해야하는 거대한 줄기는 다음과 같다. 1. 당첨될 확률을 참가자인 내가 사회자에게서 게임에 승리한 횟수의 전체 비율로 설정 2. output은 총 시행후 승리와 패배 횟수, 승리 비율 처음부터 설계를 해보자. 일단 이 문제를 코드로 푸는 방법도 여러 가지인데, 앞서 소개했던 내가 선택한 문을 A로 놓고 코드를 풀어갈 수도, 게임의 모든 과정과 유사하게 코드로 표현할 수도 있다. 하지만 선택한 문을 A로 놓고 푸는 것은 결국 내가 A,B,C 세..

JAVA 2022.02.06

JAVA_2_몬티홀 문제_1(일반적인 접근)

* 비유는 접근성을 늘릴지라도 본질을 흐리기 마련입니다. 해당 포스트는 실습 과정 중 학습을 정리하는 글이기에 주관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걸러들으시거나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바의 기본 문법을 대충 훑은 지금 연습문제를 풀어가며 체화하는 게 제일 우선순위에 있을 것이고 그에 더 흥미를 갖기위해 평소에 관심 있던 주제에 관련된 코드들을 하나씩 연습해가며 포스트 해보려 한다. 해당 문제를 코드로 풀이한 내용을 찾았다면 다음 포스트를 보길 바란다. 첫 번째 포스트로 흔히 몬티홀 딜레마, 역설 등으로 불리는 Monty Hall Preblem에 대한 얘기를 하고자 한다. 몬티홀 문제는 몬티홀이라는 사회자가 진행하는 미국 오락 프로그램 《Let's Make a D..

JAVA 2022.02.06

JAVA_1_프로그래밍 입문 언어?(자바와 파이썬)

* 해당 포스트는 실습 과정 중 학습을 정리하는 글이기에 주관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걸러들으시거나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학습이 진행되며 글은 수정될 수 있습니다. 대신 수정한 부분에는 주석을 추가하였으니 이런 생각을 했었구나 정도로 알아주시면 됩니다. * 처음 프로그래밍 입문때 적은 글이라 정말 입문자나 교양으로 보실 분들만 보고 넘어가주세요. 또한 초창기에 작성한 글이라 의욕만 넘쳐서 존댓말로 작성하지 못한 점 양해드립니다. 😀 이전 글에서 이어집니다. 링크는 https://fadet-coding.tistory.com/3❗ 이 포스트는 개발을 아예 모르시는 분이나 개발에 막 입문한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 따라서 다소 어려울 수 있는 내용은 거의 넣지..

JAVA 2022.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