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임없이 검증하라

나에게 당연할지라도

spring 5

Spring_정리6_Spring과 Spring Boot(feat. Module)

※ 이 포스트는 스프링 실습 과정에서 작성하기 때문에 정보가 부정확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블로그 학습 개발은 위험이 항상 동반됩니다. 따라서 참고만 해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을 경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비유는 언제나 원관념이 일정 부분 희생됩니다. 이를 감안하셔서 너무 비유에 매몰되지 마시고 처음 학습하신다면 스스로 정확한 개념을 따로 더 학습하시길 바랍니다. 이번 포스트는 인프런 강의 중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원리 기본편'과 토비님의 '토비의 스프링 부트' 를 수강하고 배운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하였습니다. 그렇기에 조금 더 내용을 깊게 알기 원하시면 직접 강의를 수강하시길 추천합니다. 자 이제 지금껏 자바의 역사, 서블릿, MVC, 프론트 컨트롤러를 왜 포스팅했었는지 정리하는 최종장입..

Spring 2023.03.19

P3_GPT API로 프로그래밍 AI 웹서비스 만들어보기(spring Boot+React)_5 기능 명세 정의

* 이 포스트는 학습 과정에서 그 내용을 기록한 글이기에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글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완료된 프로젝트의 url은 http://bit.ly/3J6dkQ1입니다. ❗ 이 포스트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는 Spring boot와 React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이 글은 기본적으로 두 stack의 기초를 안다는 전제 하에 진행됩니다, 따라서 이에 대해 아예 모르신다면 이 포스트를 보기 힘들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잘 모르시는 기술은 로그인 필요 없이 이 곳에서 AI에게 물어보세요! https://github.com/kth1017/project_GptApi_1 이 링크에서 프로젝트 코드를 보실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

Project 2023.02.26

Spring_짧1_ControllerTest와 @ModelAttribute, @RequestBody

※ 이 포스트는 스프링 실습 과정에서 작성하기 때문에 정보가 부정확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따라서 참고만 해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을 경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트는 김영한님의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개발 핵심 기술' 강의를 일부 인용하였습니다.스프링에 대해 더 자세히 공부하고 싶으신 분은 인프런에서 해당 강의를 수강하시길 추천합니다.이번 포스트 제 깃허브의 https://github.com/kth1017/project_newPostLink 레포를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 해당 레포의 ControllerTest를 작성하다 특정 메소드에서 NPE가 발생하여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이것저것 살펴봤습니다. 아래 나열한 코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토록 하겠습니다. 필요하시다면 댓글로..

Spring 2022.07.18

P2_페이지 내 하이퍼 링크 달아주는 코드_2_웹으로 이식

ㄱ* 이 포스트는 학습 과정에서 그 내용을 기록한 글이기에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글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Index 1 준비 2 스프링 프로젝트 생성 3 컴포넌트 4 view 구성 5 이식을 위한 코드 분리 6 domain 설정 7 리포지토리 8 서비스 9 컨트롤러와 뷰 준비 이제 본격적으로 로직을 반영하여 웹으로 이식하겠습니다. 우선 이번 글에 작성된 스프링 코드는 일부러 정말, 매우, 아주 잘못된 코드이며 설계부터 이상합니다. 그 이유는 다음 글부터 올바른 코딩을 위해 겪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빌드업이기에 이번 글을 읽으시면서 어떤 부분에서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체크해보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물론 인덱스 링크 기능만..

Project 2022.06.17

Spring_1_게시판 페이징

※ 이 포스트는 스프링 실습 과정에서 작성하기 때문에 정보가 부정확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참고만 해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을 경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프로젝트 진행 중 게시판에 페이징 기능을 구현하다가 포스트 안에서 언급하고 넘어가기보다는 정리해서 글 하나로 남겨두는 것이 낫다고 생각해서 작성하게 됐습니다. 게시판 페이징 방식은 엄청나게 다양하지만 결국 구조는 거의 다 비슷하기 때문에 원리 위주로 포스팅해볼까 합니다. 개발 환경 JAVA 1.8, Spring 2.4 IntelliJ Thymeleaf * 참고로 stream, JPA 등의 설명을 제외하면 다른 언어를 쓰시더라도 크게 복잡하지 않도록 작성하려 해봤습니다. * Spring 개발 중이시면 이 포스트에 나오는 코드의 경우 예제를..

Spring 2022.04.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