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임없이 검증하라

나에게 당연할지라도

JPA 3

P3_GPT API로 프로그래밍 AI 웹서비스 만들어보기(spring Boot+React)_5 기능 명세 정의

* 이 포스트는 학습 과정에서 그 내용을 기록한 글이기에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글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완료된 프로젝트의 url은 http://bit.ly/3J6dkQ1입니다. ❗ 이 포스트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는 Spring boot와 React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이 글은 기본적으로 두 stack의 기초를 안다는 전제 하에 진행됩니다, 따라서 이에 대해 아예 모르신다면 이 포스트를 보기 힘들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잘 모르시는 기술은 로그인 필요 없이 이 곳에서 AI에게 물어보세요! https://github.com/kth1017/project_GptApi_1 이 링크에서 프로젝트 코드를 보실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

Project 2023.02.26

P1_클론 프로젝트(feat.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_3-2

❗이 포스트는 전 배달의민족, 현재 인프런에 계시고 유튜브 개발바닥의 크리에이터이신 개발자 이동욱님의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포스트 맨 아래에 관련 링크가 있습니다.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기에 실습 중이라면 책을 main 해당 포스트를 sub로 참고해주세요. 책의 설명이 부족한 부분 위주로 포스트가 구성됩니다.❗ 이전 글에서 이어집니다! 따라서 잘 이해가 안되신다면 이전 글을 읽고 와주세요! * 잘 모르시는 기술은 로그인 필요 없이 이 곳에서 AI에게 물어보세요! 이전 포스트에선 entity와 Repository까지 다뤘었습니다. 이번 포스트는 3장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작성합니다. 3.4 등록/수정/조회 Api 만들기 # 스프링 웹..

Project 2022.03.26

P1_클론 프로젝트(feat.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_3-1

* 이 포스트는 전 배달의민족, 현재 인프런에 계시고 유튜브 개발바닥의 크리에이터이신 개발자 이동욱님의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포스트 맨 아래에 관련 링크가 있습니다.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기에 실습 중이라면 책을 main 해당 포스트를 sub로 참고해주세요. 책의 설명이 부족한 부분 위주로 포스트가 구성됩니다. 3장은 스프링에서 DB 관리에 대해 다루는데 기존에 Model에 해당하는 도메인들(post, user 등)을 관리할때 sql 문법의 쿼리를 작성하였었던 사람들에게는 조금 생소할지도 모르는 JPA를 배웁니다. 왜 JPA를 사용하는지는 책에 아주 자세히 나와있으니 생략하고 JPA에 대한 간략한 추가 설명만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3.1..

Project 2022.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