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임없이 검증하라

나에게 당연할지라도

React 4

P3_GPT API로 프로그래밍 AI 웹서비스 만들어보기(spring Boot+React)_5 기능 명세 정의

* 이 포스트는 학습 과정에서 그 내용을 기록한 글이기에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글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완료된 프로젝트의 url은 http://bit.ly/3J6dkQ1입니다. ❗ 이 포스트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는 Spring boot와 React로 진행됩니다. 따라서 이 글은 기본적으로 두 stack의 기초를 안다는 전제 하에 진행됩니다, 따라서 이에 대해 아예 모르신다면 이 포스트를 보기 힘들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잘 모르시는 기술은 로그인 필요 없이 이 곳에서 AI에게 물어보세요! https://github.com/kth1017/project_GptApi_1 이 링크에서 프로젝트 코드를 보실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

Project 2023.02.26

R2_React Context API의 필요성(feat. state, props와 리렌더링)

* 이 포스트는 학습 과정에서 그 내용을 기록한 글이기에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글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 글의 목적은 react의 Context API나 redux의 전역 상태 관리를 사용하게 되는 과정을 알아보는 것으로 렌더링 과정, state, props 등의 react 기본 지식을 쭉 훑어보고 지나가겠지만 세부 설명은 진행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react에 완전 입문이신 분이라면 먼저 기본 지식을 학습하고 이 포스트를 보시길 권해드립니다. * 잘 모르시는 기술은 로그인 필요 없이 이 곳에서 AI에게 물어보세요! 이 글은 개인 프로젝트 진행 중 생긴 학습 사항을 기록한 글입니다. 해당 프로젝트에 대한 포스팅은 https..

React 2023.02.17

L1_react+spring boot_api 공부_1

* 이 포스트는 학습 과정에서 그 내용을 기록한 글이기에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글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혼자 프로젝트때문에 이거저거 해보다가 문득 '내 블로그를 보는 분들은 입문자와 채용 면접관 두 부류이려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고나서 곰곰이 생각해보니 채용 면접관이 볼 때 내 프로젝트가 다른 데서 복붙한건지 아닌지 알 방법이 없지않나란 생각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래서 앞으로 공부하다가 막히는 부분이 생기면 제 경험을 좀 자세히 기록해두려 합니다. 이 부분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막힌 부분을 기록합니다. 해당 프로젝트 링크는 https://fadet-coding.tistory.com/70 입니다. # API 통신시 프록..

Learning 2023.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