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임없이 검증하라

나에게 당연할지라도

스프링 5

Spring_짧2_415 오류와 Content-Type, @RequestBody

※ 이 포스트는 스프링 실습 과정에서 작성하기 때문에 정보가 부정확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참고만 해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을 경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트는 제 깃허브의 https://github.com/kth1017/project_newPostLink 레포를 바탕으로 작성했습니다. 해당 레포의 ControllerTest를 작성하다 Test는 통과했지만 실제 톰캣 구동 후 해당 메소드를 실행했을때 415 오류가 발생하여 이번 포스트를 작성합니다. 기본적인 HTTP 지식이 있다는 것을 가정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습니다. 원인 탐색 실습을 하다가 테스트를 작성하여 통과하고 실제 톰캣 구동에서 415 오류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415 오류는 처음 만나는거라 당황했었는데 해결이 ..

Spring 2022.07.24

P2_페이지 내 하이퍼 링크 달아주는 코드_4_TDD(2)

* 이 포스트는 학습 과정에서 그 내용을 기록한 글이기에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글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전 포스트에 이어 테스트코드를 마저 작성하겠습니다. 테스트 코드 예시 - domain, repository 나머지 저번 포스트에는 테스트 메서드인 코드입력()을 자세히 살펴봤습니다. 이제 다음으로는 TDD에서 중요한 내가 얼마만큼의 테스트코드를 작성하는 것이 적절한가?를 판단하는 작업을 해보겠습니다. # 준비 - TestData 역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려고 보니 실제 로직에 사용할 allCode의 길이가 너무 길어 테스트 코드에 다 담기는 부적절할 것 같습니다. 따라서 더미 데이터용 TestData 클래스를 하나 따로 만들..

Project 2022.07.02

P2_페이지 내 하이퍼 링크 달아주는 코드_3_요구사항 분석과 TDD

* 이 포스트는 학습 과정에서 그 내용을 기록한 글이기에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따라서 해당 글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전 포스트에선 웹으로 원래 로직을 이식하여 작동'만'하는 엉터리 코드를 작성하였습니다. 언급했듯 그렇게 코드를 이상하게 작성한 이유는 이번 포스트부터 잘못된 설계와 코드를 비교하는 과정을 작성하기 위한 빌드업이라고 이해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이전 포스트를 문제로 이번 포스트를 해설로 봐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만 아직 저도 많이 부족한 수련생이기 때문에 자신이 더 좋은 생각이 있으시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할 것 같네요. 테스트코드와 TDD TDD란 Red-Green-Refactor 사이클로 이루어진 개발 방법론을 의미합니..

Project 2022.06.17

Spring_정리3_Spring의 구조 훑어보기_서블릿

※ 이 포스트는 스프링 실습 과정에서 작성하기 때문에 정보가 부정확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특히 Spring의 전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논리의 비약이나 내용 축약으로 인한 정보의 질적저하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전체 흐름 이해를 위한 참고만 해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을 경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트는 김영한님의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개발 핵심 기술' 강의를 수강하고 배운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따라서 스프링에 대해 더 자세히 공부하고 싶으신 분은 인프런에서 해당 강의를 수강하시길 추천합니다. ❗ 이전 글에서 이어집니다! 따라서 잘 이해가 안되신다면 이전 글을 읽고 와주세요! * 잘 모르시는 기술은 로그인 필요 없이 이 곳에서 AI에게 물어보세요! 이..

Spring 2022.05.05

Spring_정리2_Spring 이전 JAVA 웹 개발의 역사 훑어보기

※ 이 포스트는 스프링 실습 과정에서 작성하기 때문에 정보가 부정확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특히 Spring의 전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논리의 비약이나 내용 축약으로 인한 정보의 질적저하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전체 흐름 이해를 위한 참고만 해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을 경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트는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원리 기본편' 강의의 인트로 부분을 일부 인용하였습니다. 스프링에 대해 더 자세히 공부하고 싶으신 분은 인프런에서 해당 강의를 수강하시길 추천합니다. 우선 이 시리즈의 keyword는 역사, 용어, 구조입니다. 제가 작성한 다른 포스트를 보면 하나의 주제를 설명하기 위해 등장하는 개념은 인용문이나 짧은 설명으로 넘어가고 진행하기에 용어를 파악하기 어려울 ..

Spring 2022.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