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임없이 검증하라

나에게 당연할지라도

전체 글 67

#4 실무 IntelliJ+Git 사용

* Portfolio 카테고리에 포스팅한 글들은 경력기술서나 포트폴리오에 첨부한 프로젝트 관련되어 작성한 내용임을 알립니다. * 내용에 대한 댓글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1. 관련 프로젝트 및 업무 개요 * 사내 진행했던 프로젝트로 실제 커밋 이력은 비공개이며 포스팅의 모든 사항은 공개 가능한 범위에서만 작성합니다. 프로젝트 및 업무 명협업 내 퍼블리셔/프론트 팀 git 총괄 관리 개발 환경intelliJGit, gitLab2. 문제 분석 및 최초 Revision* 포스팅에 사용된 사항은 실제 사내 사용 사례가 아닌 전부 예시임문제사항퍼블리셔/프론트엔드 팀과의 협업 과정에서 생기는 Git 관련 업무 시간 증가1 Git 관리 환경으로 발생하는 협업 시간 증가2 잘못된 커밋 푸시로 인한 브랜치 복구 작업3 F..

Portfolio 2025.09.07

#3 사내 보안 취약점 대응 2

* Portfolio 카테고리에 포스팅한 글들은 경력기술서나 포트폴리오에 첨부한 프로젝트 관련되어 작성한 내용임을 알립니다. * 내용에 대한 댓글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사내 보안 취약점 대응 포스팅은 #2 사내 보안 취약점 대응1 - 패킷 파라미터 변조 / #3 사내 보안 취약점 대응2 - XSS 및 서버 정보 노출 두개의 포스팅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이전 글 링크 : https://fadet-coding.tistory.com/98 1. 관련 프로젝트 및 업무 개요* 사내 진행했던 프로젝트로 github repository나 실제 프로덕트 코드는 비공개이며 포스팅의 모든 사항은 공개 가능한 범위에서만 작성합니다.프로젝트 및 업무 명(공개 가능)사내 보안 취약점 분석 및 수정 개발 환경(공개 가능)Vue..

Portfolio 2025.09.06

#2 사내 보안 취약점 대응 1

* Portfolio 카테고리에 포스팅한 글들은 경력기술서나 포트폴리오에 첨부한 프로젝트 관련되어 작성한 내용임을 알립니다. * 내용에 대한 댓글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사내 보안 취약점 대응 포스팅은 #2 사내 보안 취약점 대응1 - 패킷 파라미터 변조 / #3 사내 보안 취약점 대응2 - XSS 및 서버 정보 노출 두개의 포스팅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다음 글 링크 : https://fadet-coding.tistory.com/99 1. 관련 프로젝트 및 업무 개요* 사내 진행했던 프로젝트로 github repository나 실제 프로덕트 코드는 비공개이며 포스팅의 모든 사항은 공개 가능한 범위에서만 작성합니다.프로젝트 및 업무 명(공개 가능)사내 보안 취약점 분석 및 수정 개발 환경(공개 가능)V..

Portfolio 2025.09.05

#1 CompletableFuture를 이용한 비동기화

* Portfolio 카테고리에 포스팅한 글들은 경력기술서나 포트폴리오에 첨부한 프로젝트 관련되어 작성한 내용임을 알립니다. * 내용에 대한 댓글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1. 관련 프로젝트 및 업무 개요 * 사내 진행했던 프로젝트로 github repository나 실제 프로덕트 코드는 비공개이며 포스팅의 모든 사항은 공개 가능한 범위에서만 작성합니다. 프로젝트 및 업무 명(공개 가능)사내 Spring Boot 백엔드 코드 수정 - FCM 알림 전송을 위한 비동기 API 개선 개발 환경(공개 가능) Vue.js 2.6.xintelliJJAVA 1.8 / Spring Boot 2.7.x / myBatis 2.3 Apache JMeter 5.2.1 2. 문제 분석 및 최초 Revision 문제사항다수의 특정..

Portfolio 2025.09.04

안녕하세요?

마지막 글을 포스팅하고 반년이 한참 넘었네요 ㅠㅠ오늘부터 포스팅할 글들은 포트폴리오에 첨부할 프로젝트 관련 주제들일거라 기존 작성했던 글들과는 성격이 엄청 다를 것 같습니다.대신에 기존 글들에서 좀 이상한 부분이나 첨언할 부분이 있다면 수정하려고 합니다.물론 지금보면 당장 삭제하고 싶은 포스팅도 많지만... 이런 시절이 있었지 하며 남겨두려 합니다. 그런만큼 글 보시다가 이상한 내용 있으시면 바로 알려주세요!

Fadet's box 2025.08.30

L5_클라이언트-서버 API 통신 과정(백엔드) _1 클라이언트/서버

* 이 포스트는 학습 과정에서 그 내용을 기록한 글이기에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글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언제든지 글이 수정될 수 있는 점 참고해주세요. * 비유는 언제나 원관념이 일정 부분 희생됩니다. 이를 감안하셔서 너무 비유에 매몰되지 마시고 처음 학습하신다면 스스로 정확한 개념을 따로 더 학습하시길 바랍니다.😄 이 글은 개발자들 간 API 통신에 대해 다루기에 기본적으로 개발자들을 위한 글이지만 개발에 입문하시는 분들이나 관심이 있으신 일반인분들도 이해하실 수 있게 풀어서 작성합니다. 중간중간 이해가 어려울 수 있는 부분들은 refer를 추가하므로 보시는데 큰 어려움은 없으실 겁니다.  안녕하세..

Learning 2024.11.04

P4_기존 프로젝트에 배포 자동화 구축하기(github actions)_2

* 이 포스트는 학습 과정에서 그 내용을 기록한 글이기에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따라서 해당 글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말씀드리자면 엄밀히 CI/CD와 배포 자동화는 다른 개념이지만 이 포스트에선 배포자동화를CI/CD로 부르겠습니다. 처음 공부할때 작성한 포스트라 이 부분은 추후 수정하겠습니다❗ 대상 독자 : CI/CD 파이프라인 구축에 입문하는 주니어 개발자❗ 이 글은 기존 프로젝트에 github actions를 이용한 CI/CD를 구축하는 내용을 메인으로 합니다. 따라서 독자분이 기존 프로젝트에 사용했던 Git, Spring Boot, Docker, AWS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검색을 해보시거나 아래 링크를 통해 a..

Project 2024.02.02

P4_기존 프로젝트에 배포 자동화 구축하기(github actions)_1

* 이 포스트는 학습 과정에서 그 내용을 기록한 글이기에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따라서 해당 글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2025.08.30 내용 수정 및 주석 추가 ❗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말씀드리자면 엄밀히 CI/CD와 배포 자동화는 다른 개념이지만 이 포스트에선 배포자동화를 CI/CD로 부르겠습니다. 처음 공부할때 작성한 포스트라 이 부분은 추후 수정하겠습니다.❗ 대상 독자 : CI/CD 파이프라인 구축에 입문하는 주니어 개발자❗ 이 글은 기존 프로젝트에 github actions를 이용한 CI/CD를 구축하는 내용을 메인으로 합니다. 따라서 독자분이 기존 프로젝트에 사용했던 Git, Docker, Travis CI, AWS에 대해서 익..

Project 2024.02.01

JAVA_4_중첩클래스(Nested)와 Static(+jvm, 스프링 부트)

* 이 포스트는 학습 과정에서 그 내용을 기록한 글이기에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글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트는 인프런 강의 중 토비 님의 '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를 수강하고 배운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하였습니다. 그렇기에 조금 더 내용을 깊게 알기 원하시면 직접 강의를 수강하시길 추천합니다. 또한 해당 내용은 토비 님의 유튜브 채널 링크 https://www.youtube.com/watch?v=2G41JMLh05U를 같이 보시면 좋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지난 글인 https://fadet-coding.tistory.com/26 에서 이어집니다.❗ 포스트를 보실때 미리 알면 도움이 될 지식 : 자바(JV..

JAVA 2023.10.30

(내가 방치했던)토이 프로젝트 되살리기

* 이 포스트는 학습 과정에서 그 내용을 기록한 글이기에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글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 글은 https://github.com/kth1017/project_GptApi_1 에 올린 토이 프로젝트에 관한 내용입니다. 더 자세히 알고 싶으시다면 아직 포스팅이 덜 끝났지만 블로그에 포스팅된 P3_GPT API로 프로그래밍 AI 웹서비스 만들어보기 시리즈를 참고해주세요. 이런저런 이유로 최근에야 방치했던 토이 프로젝트에 문제가 발생한 것을 깨달았습니다. 정말 개발자를 지망한다는 사람치곤 자격이 있는지 의심스럽지만 그래도 솔직하게 털어놓고 해결하는 포스트를 올리는 것이 맞겠.... 죠? 우선 토이 프로젝트에 기재된..

Debug 2023.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