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임없이 검증하라

나에게 당연할지라도

전체 글 67

P2_페이지 내 하이퍼 링크 달아주는 코드_1_단순로직

* 이 포스트는 학습 과정에서 그 내용을 기록한 글이기에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글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목록 1 개발 환경 2 준비 3 input.txt 불러오기 4 원본 html코드 5 기능 추가 전 준비 6 기능 추가 7 코드 마무리 개발 환경 우선 이후 페이지로 로직을 이식할 예정이라 JAVA, Spring boot를 사용할 예정입니다. 추후 글을 볼 필요가 없으시면 spring 필요 없이 그냥 jdk 1.8 이상만 사용하시면 됩니다. JDK 11, IntelliJ Spring boot 준비 이전 포스트의 내용대로 1 index 자동 완성 2 페이지 내 링크 자동 완성 기능에 대한 로직을 우선 완성하겠습니다. 일단 로직은 ..

Project 2022.06.08

P2_페이지 내 하이퍼 링크 달아주는 코드_준비

* 이 포스트는 학습 과정에서 그 내용을 기록한 글이기에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글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불편했던 점 티스토리 블로그에 학습한 내용을 포스트하는 과정에서 제가 너무 말이 많은지 글이 길어지곤 합니다. 글이 길어지면 인덱스를 다는데 여기서 문제가 좀 있었습니다. 보통 페이지 내 링크를 걸기 위해선 목차마다 id를 지정해주고 a 태그에 #id를 써주거나 클릭시 1st로 이동 1st id 대신 name을 지정해주면 되는데 클릭시 1st로 이동 1st 하지만 목차가 길어지면 이 태그를 일일이 달기도 귀찮기에 티스토리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문서 서식에 index 링크를 작성해놓고 매번 불러오면 되지 않으려나 생각했는데 여기..

Project 2022.06.03

배경학습_2_이더리움, NFT, 그리고 지금의 블록체인

* 비유는 접근성을 높일지라도 본질을 흐리기 마련입니다. 이 포스트는 학습 과정에서 그 내용을 기록한 글이기에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또한 너무 자세한 내용은 글의 길이를 위해 과감히 삭제한 부분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해당글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당 글은 저술가이신 유튜버 김필산님의 채널 '김필산의 사이언스 비치' 내 동영상 일부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개발 지식이 전무한 일반인이시면 아래 링크된 채널도 방문하여 영상을 시청하시는걸 추천합니다. 이전 포스트에선 블록체인의 기본적인 개념을 살펴봤습니다. 오늘은 2세대 블록체인의 등장부터 NFT, 스테이블 코인과 개인적인 비트코인에 대한 견해를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이번 글은 좀 주관적인..

CS 2022.05.24

배경학습_1_블록체인과 정보의 가치

* 비유는 접근성을 높일지라도 본질을 흐리기 마련입니다. 이 포스트는 학습 과정에서 그 내용을 기록한 글이기에 부정확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특히나 이번 블록체인의 경우 reference가 상대적으로 적어 더욱 미흡한 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너무 자세한 내용은 글의 길이를 위해 과감히 삭제한 부분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해당글은 참고용으로만 봐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당 글은 저술가이신 유튜버 김필산님의 채널 '김필산의 사이언스 비치' 내 동영상 일부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개발 지식이 전무한 일반인이시면 아래 링크된 채널도 방문하여 영상을 시청하시는걸 추천합니다. 평소 블록체인에 대해 대략적인 개념만 알고 있던 차에 즐겨보던 유튜버인 김팔산님의 블록체인..

CS 2022.05.17

P1_게시판 프로젝트_4_페이징 기능 추가

* 이 포스트는 전 배달의민족, 현재 인프런에 계시고 유튜브 개발바닥의 크리에이터이신 개발자 이동욱님의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작성된 코드를 기반으로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대한 글임을 알립니다. 포스트 맨 아래에 관련 링크가 있습니다. * 참고로 @Getter, @Setter 어노테이션은 전부 생략했습니다. 필요할때만 언급하겠습니다. 책 부분이 끝난 후부터는 코드를 커스텀하는 과정을 포스팅합니다. 책 부분이 궁금하시면 ready부터 보시길 추천합니다. 참고 : https://github.com/kth1017/S1 이제 view는 임시로 완성되었으니 게시판에 필요한 페이징, 검색, 검증 기능을 추가로 추가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중 가장 먼저 페이징을 먼저 소개하는게 맞다..

Project 2022.05.12

Debug_1_InvalidDefinitionException

※ 이 포스트는 실습 과정에서 디버깅한 직후 과정 기록을 위해서만 작성하므로 정말 단순 참고용으로만 봐주세요. 다른 포스트들과 달리 글을 다듬지 않아 많이 투박할 수 있습니다. 궁금한 사항이나 틀린 내용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해당 포스트가 작성되는 글의 서두에도 작성되어 있지만 정말 디버깅 과정만 기록하는 카테고리입니다. txt에 따로 메모는 해두는데 한 줄로 남겨놓으면 나중에 까먹어서 다시 찾아보는.... 여튼 첫 글은 InvalidDefinitionException: (no Creators, like default constructor, exist): cannot deserialize from Object value (no delegate- or property-based Creator..

Debug 2022.05.12

Spring_정리5_Spring의 구조 훑어보기_FrontController

※ 이 포스트는 스프링 실습 과정에서 작성하기 때문에 정보가 부정확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따라서 참고만 해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을 경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트는 김영한님의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개발 핵심 기술' 강의를 수강하고 배운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따라서 스프링에 대해 더 자세히 공부하고 싶으신 분은 인프런에서 해당 강의를 수강하시길 추천합니다. 또한 서블릿, mvc가 무엇인지 아예 모르시는 분들은 이전 포스트인 https://fadet-coding.tistory.com/34를 보시거나 다른 기초 설명들을 보고 오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전 글에서 이어집니다! 따라서 잘 이해가 안되신다면 이전 글을 읽고 와주세요! Index1 mvc와 서블릿 ve..

Spring 2022.05.09

Spring_정리4_Spring의 구조 훑어보기_MVC

※ 이 포스트는 스프링 실습 과정에서 작성하기 때문에 정보가 부정확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따라서 참고만 해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을 경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트는 김영한님의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개발 핵심 기술' 강의를 수강하고 배운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따라서 스프링에 대해 더 자세히 공부하고 싶으신 분은 인프런에서 해당 강의를 수강하시길 추천합니다. 또한 서블릿, mvc가 무엇인지 아예 모르시는 분들은 이전 포스트인 https://fadet-coding.tistory.com/34를 보시거나 다른 기초 설명들을 보고 오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Index 1 서블릿과 JSP의 한계 2 mvc와 서블릿 basic - View와 Controller 분리 + Mod..

Spring 2022.05.08

4_짧_프로토콜과 인터페이스

* 비유는 접근성을 늘릴지라도 본질을 흐리기 마련입니다. 해당 포스트는 실습 과정 중 학습을 정리하는 글이기에 주관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걸러들으시거나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잘 모르시는 기술은 로그인 필요없이 이 곳에서 AI에게 물어보세요! 공부 중 여러 댓글들을 보며 프로토콜을 좀 잘못 알고 넘어가시는 분이 많은 것 같아서 정리도 할 겸 인터페이스와 엮어 짧게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우선 맨 먼저 개발에 대한 배경지식이 아예 없는 분들을 위해 정말 이해하기 쉽게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물건을 파는 판매자입니다. 그런데 물건을 판매하고 받은 게 바나나 1개라고 합시다. 그럼 여러분은 뭐라고 말하겠습니까? '아니 돈으로 줘야지 바나나는 ..

CS 2022.05.06

Spring_정리3_Spring의 구조 훑어보기_서블릿

※ 이 포스트는 스프링 실습 과정에서 작성하기 때문에 정보가 부정확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특히 Spring의 전체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논리의 비약이나 내용 축약으로 인한 정보의 질적저하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전체 흐름 이해를 위한 참고만 해주시고 틀린 부분이 있을 경우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번 포스트는 김영한님의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개발 핵심 기술' 강의를 수강하고 배운 내용을 정리하여 작성하였습니다. 따라서 스프링에 대해 더 자세히 공부하고 싶으신 분은 인프런에서 해당 강의를 수강하시길 추천합니다. ❗ 이전 글에서 이어집니다! 따라서 잘 이해가 안되신다면 이전 글을 읽고 와주세요! 이전 포스트에선 스프링의 탄생 과정까지를 JAVA의 시작부터 차근차근 알아보았..

Spring 2022.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