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임없이 검증하라

나에게 당연할지라도

전체 글 62

P1_클론 프로젝트(feat.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_3-1

* 이 포스트는 전 배달의민족, 현재 인프런에 계시고 유튜브 개발바닥의 크리에이터이신 개발자 이동욱님의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포스트 맨 아래에 관련 링크가 있습니다.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기에 실습 중이라면 책을 main 해당 포스트를 sub로 참고해주세요. 책의 설명이 부족한 부분 위주로 포스트가 구성됩니다. 3장은 스프링에서 DB 관리에 대해 다루는데 기존에 Model에 해당하는 도메인들(post, user 등)을 관리할때 sql 문법의 쿼리를 작성하였었던 사람들에게는 조금 생소할지도 모르는 JPA를 배웁니다. 왜 JPA를 사용하는지는 책에 아주 자세히 나와있으니 생략하고 JPA에 대한 간략한 추가 설명만 하고 넘어가겠습니다. 3.1..

Project 2022.03.25

P1_클론 프로젝트(feat.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_2

* 이 포스트는 전 배달의민족, 현재 인프런에 계시고 유튜브 개발바닥의 크리에이터이신 개발자 이동욱님의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포스트 맨 아래에 관련 링크가 있습니다.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기에 실습 중이라면 책을 main 해당 포스트를 sub로 참고해주세요. 책의 설명이 부족한 부분 위주로 포스트가 구성됩니다. 포스트를 시작하기에 앞서 책의 처음에도 언급된 인텔리제이 얘기를 좀 해볼텐데 필자는 이클립스를 사용해보지 않고 개발 입문에 이거저거 해볼땐 vscode에 플러그인을 추가해서 사용했고 이후 JAVA를 공부할땐 인텔리제이를, 파이썬은 파이참(인텔리제이의 파이썬 버전이라고 생각하면 됨)을 사용했기에 IDE는 총 3개(사실상 두개)를 사..

Project 2022.03.25

잡담1_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한 고찰(feat. 수학)_1

* 이 포스트는 개발 지망생이 학습을 위해 작성한 것으로 개발자들이 보기에 부적절할 수 있음을 알립니다. * 제목에 수학이라고 썼지만 포스트에서 다루는 내용은 어릴때 배우는 고등수학 기초를 다룹니다. 다른 공부를 진행하다 뜬금없이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꽂혔습니다. 그리고 관련 자료를 찾아보면서 생각이 정리되는 느낌을 받아 너무 기뻤다는...(사실 이 정리한 내용이 맞는가는 끝없는 교차검증을 겪어야할 것이지만) 그 생각을 한 번 초보자의 입장에서 끄적여볼까싶어 해당 포스트를 작성합니다. # 포스트 유입 키워드에 '프로그래밍 수학'이 유독 많아 추가합니다. 아마 프로그래밍을 입문함에 있어 자신이 수학에 약한데 고민인 분이 많아 이런 키워드로 검색한다고 생각하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잘하면 좋은데 못해도 상관없음..

Fadet's box 2022.03.21

P1_클론 프로젝트(feat.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_Ready

* 이 포스트는 전 배달의민족, 현재 인프런에 계시고 유튜브 개발바닥의 크리에이터이신 개발자 이동욱님의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포스트 맨 아래에 관련 링크가 있습니다.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기에 실습 중이라면 책을 main 해당 포스트를 sub로 참고해주세요. 책의 설명이 부족한 부분 위주로 포스트가 구성됩니다. 이전 포스트에서 기본 설정을 다뤘기에 이번 포스트는 학습 방향성에 대해서 다루겠습니다. $ 개념 초간단 정리(백엔드 개발만 공부하신 입문자들에게 생소할 수 있는 개념만) - mustache : html같은 마크업 언어에 if 등의 분기문을 넣을 수 있는 템플릿 엔진 중 하나 - SSR(server-side rendering) : ..

Project 2022.03.20

P1_클론 프로젝트(feat.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_1+도입부 설명

* 이 포스트는 전 배달의민족, 현재 인프런에 계시고 유튜브 개발바닥의 크리에이터이신 개발자 이동욱님의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포스트 맨 아래에 관련 링크가 있습니다.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기에 실습 중이라면 책을 main 해당 포스트를 sub로 참고해주세요. 책의 설명이 부족한 부분 위주로 포스트가 구성됩니다. 현재 공부를 진행하며 스프링 부트에 대한 전반적인 지식 등을 익혔지만 실제로 서비스의 빌드부터 배포까지 해볼 필요성을 강하게 느꼈고, 마침 개발 공부를 다시 시작하게 된 계기인 EO 유튜브 영상부터 공부 중 많은 insight를 주셨던 이동욱님의 책 한 권을 통해 해당 과정을 학습해보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포스트는 이 책의 실습 ..

Project 2022.03.20

2_흐름정리_백엔드란?

* 비유는 접근성을 늘릴지라도 본질을 흐리기 마련입니다.해당 포스트는 실습 과정 중 학습을 정리하는 글이기에 주관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걸러들으시거나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S 카테고리의 흐름 정리 파트는 정확한 개념 파악보단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맞춰 진행합니다. * 예전에 쓴 글이다보니 의욕이 앞섰는지 존댓말이 아닌 반말로 진행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언제 한 번 수정하겠습니다. @지금까지 알아본 내용#API CS 카테고리에선 프로그래머라면 알고 있어야하는 소양에 대해서 끄적이려고하는데, 그 중 가장 처음 끄적인 것은 API였고 앞으로 단계를 거치며 여러 포스트를 작성하려고한다. 포스트에 앞서 모든 지식을 획득함에 있어서 공통되..

CS 2022.02.17

1_흐름정리_API

* 비유는 접근성을 높일지라도 본질을 흐리기 마련입니다.해당 포스트는 실습 과정 중 학습을 정리하는 글이기에 주관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걸러들으시거나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CS 카테고리의 흐름 정리 파트는 정확한 개념 파악보단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는데 초점을 맞춰 진행합니다. * 예전에 쓴 글이다보니 의욕이 앞섰는지 존댓말이 아닌 반말로 진행되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언제 한 번 수정하겠습니다.Index1 API? 그게뭔데?2 프레임워크와 라이브러리? RESTAPI?3 정리 API? 그게뭔데? 우선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 예시 하나를 들어보겠다. A와 B가 있고 이 둘 사이는 줄로 이어져있으며 어떤 버튼을 누르면 무언가 전해줄 수 있다고 가정해보자...

CS 2022.02.12

JAVA_2_몬티홀 문제_2(코드로 접근)

* 해당 포스트는 실습 과정 중 학습을 정리하는 글이기에 주관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걸러들으시거나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제 이 문제를 코드를 이용해 풀이하는 방식으로 접근해보자. 일단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악해야하는 거대한 줄기는 다음과 같다. 1. 당첨될 확률을 참가자인 내가 사회자에게서 게임에 승리한 횟수의 전체 비율로 설정 2. output은 총 시행후 승리와 패배 횟수, 승리 비율 처음부터 설계를 해보자. 일단 이 문제를 코드로 푸는 방법도 여러 가지인데, 앞서 소개했던 내가 선택한 문을 A로 놓고 코드를 풀어갈 수도, 게임의 모든 과정과 유사하게 코드로 표현할 수도 있다. 하지만 선택한 문을 A로 놓고 푸는 것은 결국 내가 A,B,C 세..

JAVA 2022.02.06

JAVA_2_몬티홀 문제_1(일반적인 접근)

* 비유는 접근성을 늘릴지라도 본질을 흐리기 마련입니다. 해당 포스트는 실습 과정 중 학습을 정리하는 글이기에 주관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걸러들으시거나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자바의 기본 문법을 대충 훑은 지금 연습문제를 풀어가며 체화하는 게 제일 우선순위에 있을 것이고 그에 더 흥미를 갖기위해 평소에 관심 있던 주제에 관련된 코드들을 하나씩 연습해가며 포스트 해보려 한다. 해당 문제를 코드로 풀이한 내용을 찾았다면 다음 포스트를 보길 바란다. 첫 번째 포스트로 흔히 몬티홀 딜레마, 역설 등으로 불리는 Monty Hall Preblem에 대한 얘기를 하고자 한다. 몬티홀 문제는 몬티홀이라는 사회자가 진행하는 미국 오락 프로그램 《Let's Make a D..

JAVA 2022.02.06

JAVA_1_프로그래밍 입문 언어?(자바와 파이썬)

* 해당 포스트는 실습 과정 중 학습을 정리하는 글이기에 주관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걸러들으시거나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학습이 진행되며 글은 수정될 수 있습니다. 대신 수정한 부분에는 주석을 추가하였으니 이런 생각을 했었구나 정도로 알아주시면 됩니다. * 처음 프로그래밍 입문때 적은 글이라 정말 입문자나 교양으로 보실 분들만 보고 넘어가주세요. 또한 초창기에 작성한 글이라 의욕만 넘쳐서 존댓말로 작성하지 못한 점 양해드립니다. 😀 이전 글에서 이어집니다. 링크는 https://fadet-coding.tistory.com/3❗ 이 포스트는 개발을 아예 모르시는 분이나 개발에 막 입문한 분들을 위한 글입니다. 따라서 다소 어려울 수 있는 내용은 거의 넣지..

JAVA 2022.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