끊임없이 검증하라

나에게 당연할지라도

전체 글 62

P1_게시판 프로젝트_1_thymeleaf 시작

* 이 포스트는 전 배달의민족, 현재 인프런에 계시고 유튜브 개발바닥의 크리에이터이신 개발자 이동욱님의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작성된 코드를 기반으로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대한 글임을 알립니다. 포스트 맨 아래에 관련 링크가 있습니다. 책 부분이 끝난 후부터는 코드를 커스텀하는 과정을 포스팅합니다. 책 부분이 궁금하시면 ready부터 보시길 추천합니다. 참고 : https://github.com/kth1017/S1 이전 포스트에 적은 내용대로 이번 포스트부터는 코드를 커스텀하는 과정을 진행해보려고 합니다. 이번 포스트에서 진행되는 과정은 템플릿 엔진을 mustache에서 thymeleaf로 변경하는 것입니다. 코드를 뜯어 고치는 과정은 반드시 단계적으로 진행되어야 하기..

Project 2022.04.15

JAVA_3_Static(+메모리)

* 해당 포스트는 실습 과정 중 학습을 정리하는 글이기에 주관적인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걸러들으시거나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트는 Static Class, variable 위주의 JAVA의 메모리 할당에 대한 얘기를 풀어보고자한다.INDEX1 물리/논리 메모리의 간단한 구조2 기업들과 OOP3 static과 인스턴스 Elements의 차이 - 우리가 사용하는 Class는 (static) Class4 static과 OOP 스프링 공부를 하는데 누군가 Q&A에 static class에 대해 잘 모르는 뉘앙스의 질문글을 올렸고 거기에 답글을 달다가 '내가 알고 있는 메모리 관련 지식이 정확할까?'란 고민에 휩싸여 결국 다시 개념을 정리해보기로 했다. ..

JAVA 2022.04.14

P1_클론 프로젝트(feat.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_책 부분 End

* 이 포스트는 전 배달의민족, 현재 인프런에 계시고 유튜브 개발바닥의 크리에이터이신 개발자 이동욱님의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포스트 맨 아래에 관련 링크가 있습니다.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기에 실습 중이라면 책을 main 해당 포스트를 sub로 참고해주세요. 책의 설명이 부족한 부분 위주로 포스트가 구성됩니다.책을 모두 끝내시고 이 포스트를 보시는 모든 분들께 정말 수고하셨다는 말을 드리고 싶습니다. 솔직히 이 책의 빌드 과정은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로그만 봐도 빠르게 수습이 가능하며 빠르게 진행하신 분은 저처럼 1~2일 내에 마치셨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배포 과정의 문제를 직면하시면 빌드때처럼 로그가 명확하게 나오지 않고 구글링해..

Project 2022.04.08

P1_클론 프로젝트(feat.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_8

* 이 포스트는 전 배달의민족, 현재 인프런에 계시고 유튜브 개발바닥의 크리에이터이신 개발자 이동욱님의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포스트 맨 아래에 관련 링크가 있습니다.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기에 실습 중이라면 책을 main 해당 포스트를 sub로 참고해주세요. 책의 설명이 부족한 부분 위주로 포스트가 구성됩니다. * 6장부터인 배포 과정은 빌드 부분 포스트들과 달리 문제 해결 위주로 포스트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체 과정이 궁금하시다면 책이나 다른 블로그들을 참고해주세요. * 한번에 되시는 분은 정말 아무 문제 없으실 수 있지만 배포시 문제가 생긴다면 정말 고생합니다. 필자 역시 빌드 부분은 프로젝트도 포스팅도 금방 완성했지만 배포 부분은..

Project 2022.04.08

P1_클론 프로젝트(feat.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_7

* 이 포스트는 전 배달의민족, 현재 인프런에 계시고 유튜브 개발바닥의 크리에이터이신 개발자 이동욱님의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포스트 맨 아래에 관련 링크가 있습니다.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기에 실습 중이라면 책을 main 해당 포스트를 sub로 참고해주세요. 책의 설명이 부족한 부분 위주로 포스트가 구성됩니다. * 6장부터인 배포 과정은 빌드 부분 포스트들과 달리 문제 해결 위주로 포스트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체 과정이 궁금하시다면 책이나 다른 블로그들을 참고해주세요. * 한번에 되시는 분은 정말 아무 문제 없으실 수 있지만 배포시 문제가 생긴다면 정말 고생합니다. 필자 역시 빌드 부분은 프로젝트도 포스팅도 금방 완성했지만 배포 부분은..

Project 2022.04.08

P1_클론 프로젝트(feat.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_6

* 이 포스트는 전 배달의민족, 현재 인프런에 계시고 유튜브 개발바닥의 크리에이터이신 개발자 이동욱님의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포스트 맨 아래에 관련 링크가 있습니다.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기에 실습 중이라면 책을 main 해당 포스트를 sub로 참고해주세요. 책의 설명이 부족한 부분 위주로 포스트가 구성됩니다. * 6장부터인 배포 과정은 빌드 부분 포스트들과 달리 문제 해결 위주로 포스트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체 과정이 궁금하시다면 책이나 다른 블로그들을 참고해주세요. * 한번에 되시는 분은 정말 아무 문제 없으실 수 있지만 배포시 문제가 생긴다면 정말 고생합니다. 필자 역시 빌드 부분은 프로젝트도 포스팅도 금방 완성했지만 배포 부분은..

Project 2022.04.08

P1_클론 프로젝트(feat.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_5-2

* 이 포스트는 전 배달의민족, 현재 인프런에 계시고 유튜브 개발바닥의 크리에이터이신 개발자 이동욱님의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포스트 맨 아래에 관련 링크가 있습니다.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기에 실습 중이라면 책을 main 해당 포스트를 sub로 참고해주세요. 책의 설명이 부족한 부분 위주로 포스트가 구성됩니다. 5.4 어노테이션 기반 개선 # LoginUserArgumentResolver 여기서 resolver에 대해서 어색할 수도 있습니다. 스프링을 배우신 분이라면 viewResolver를 통해 어떤 방식인지 잘 아시겠지만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쉽게 말하자면 일종의 정거장 개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사람의 목적지에 따라 port..

Project 2022.03.30

P1_클론 프로젝트(feat.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_5-1

* 이 포스트는 전 배달의민족, 현재 인프런에 계시고 유튜브 개발바닥의 크리에이터이신 개발자 이동욱님의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포스트 맨 아래에 관련 링크가 있습니다.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기에 실습 중이라면 책을 main 해당 포스트를 sub로 참고해주세요. 책의 설명이 부족한 부분 위주로 포스트가 구성됩니다. 5장 내용인 스프링 시큐리티 파트는 포스트가 길어 나누어 작성하겠습니다. 5.1 스프링 시큐리티와 Oauth2 클라이언트 # 시작 전 스프링 시큐리티를 사용하는 효용은 책에 충분히 설명되어 있으니 넘어가겠습니다. 스프링부트 버전이 많이 바뀐만큼 1.5를 유지할건지의 논의는 저희에겐 필요 없을 것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선 다른 내용은..

Project 2022.03.30

P1_클론 프로젝트(feat.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_4

* 이 포스트는 전 배달의민족, 현재 인프런에 계시고 유튜브 개발바닥의 크리에이터이신 개발자 이동욱님의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포스트 맨 아래에 관련 링크가 있습니다.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기에 실습 중이라면 책을 main 해당 포스트를 sub로 참고해주세요. 책의 설명이 부족한 부분 위주로 포스트가 구성됩니다. 4장부터는 본격적인 화면 영역을 구성합니다. ready 포스트에서 다룬 것처럼 이 책에선 API를 통해 View가 통신하는 구조를 따르지 react, vue 등 클라이언트 템플릿엔진이 아닌 서버 템플릿 엔진을 사용하여 화면을 개발합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스프링에서 사용되는 템플릿 엔진인 thymleaf나 JSP를 사용하지 않고 ..

Project 2022.03.28

P1_클론 프로젝트(feat.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_3-2

❗이 포스트는 전 배달의민족, 현재 인프런에 계시고 유튜브 개발바닥의 크리에이터이신 개발자 이동욱님의 '스프링부트와 AWS로 혼자 구현하는 웹 서비스'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립니다. 포스트 맨 아래에 관련 링크가 있습니다. 책의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기에 실습 중이라면 책을 main 해당 포스트를 sub로 참고해주세요. 책의 설명이 부족한 부분 위주로 포스트가 구성됩니다.❗ 이전 글에서 이어집니다! 따라서 잘 이해가 안되신다면 이전 글을 읽고 와주세요! * 잘 모르시는 기술은 로그인 필요 없이 이 곳에서 AI에게 물어보세요! 이전 포스트에선 entity와 Repository까지 다뤘었습니다. 이번 포스트는 3장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작성합니다. 3.4 등록/수정/조회 Api 만들기 # 스프링 웹..

Project 2022.03.26